1.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인터넷 사용을 위한 프로토콜이다. '/' 표기 방식을 사용하는 이유는 편리하게 두개의 프로토콜을 묶어서 표현하기 위해서이다. IP계층을 사용하면서 그 위에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TCP로 사용한다는 의미이다.
애플리케이션 계층 (Telnet, FTP, HTTP 등) |
트랜스포트 계층 (TCP, UDP) |
인터넷 계층 (IP) |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 (Network Driver, Hardware 등) |
TCP/IP 계층
2. IP주소
인터넷을 사용하는 우리에게 모두 하나씩 주어진 주소가 있는데, 이것을 'IP 주소'라고 하고, 이 주소는 전 세계적으로 유일한 주소를가지게 된다. 따라서 남들과 똑같은 주소를 갖게 되면 인터넷에 둘중 한 명은 접속이 불가능해진다.
IP를 나누어 주고 관리해주는 기관은 NIC(Network Information Center)이다.
아이피 주소의 한 자리는 최대 0부터 최대 255까지 가능하다. 이진수 8자리로 만들어 낼 수 있는 가장 큰 수는 십진수로 255이기 때문이다. 편의상 십진수로 표기한 것이다. 실제 아이피 주소는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0000' 이렇게 32개의 이진수로 만들어졌다. IP 주소의 총 갯수는 2의 32승, 42억 9496만 7296 정도가 된다. IPv4의 IP 주소가 고갈되어 IPv6를 사용하게 될 것이다. 6 버전은 128개의 이진수로 이루어져 있다.
ex) 10. 139. 4. 36
IPv4 주소
한정된 IP주소 문제로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나 PAT 등이 사용되고 있다. NAT는 내부 네트워크에서는 공인되지 않은 IP 주소를 사용하고, 인터넷으로 나갈 때만 공인 주소(즉 유일한 IP 주소)를 가지고 나가는 방식이다. PAT는 동일한 IP 주소를 가지고 여러 명이 인터넷에 접속하면서 포트 넘버만을 바꾸는 방식이다.
3. DHCP(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pc마다 하나하나 IP 주소를 미리 지정해 놓지 않고 DHCP 서버가 그 네트워크에 필요한 IP 주소를 전부 가지고 있다가 IP 주소를 요구하는 PC에는 그때그때 자동으로 분배해주는 방식이다. 물론 다 쓰고 난 IP 주소는 회수한다.
'정보 보안 서적 요약 > 후니의 쉽게 쓴 시스코 네트워킹' 카테고리의 다른 글
04-2. 루핑 (0) | 2024.06.10 |
---|---|
04. 랜카드, 허브, 스위치와 브리지 (0) | 2024.06.10 |
02-2. ARP, 맥어드레스, 유니캐스트, 브로드캐스트, 멀티캐스트, OSI 7 계층, 프로토콜 (0) | 2024.06.09 |
02. LAN, 이더넷, UTP 케이블, 회선 속도 (0) | 2024.06.09 |
01. 네트워킹, 인터넷, 인트라넷, 엑스트라넷 (0) | 2024.06.09 |